공무원 근속승진소요연수가 2024년 6월 27일부터 대폭 개선되었습니다. 특히 9급에서 4급까지 승진에 필요한 최소 근무기간이 13년에서 8년으로 단축되어 공직사회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.
근속승진소요연수의 이해
근속승진소요연수는 상위 직급으로 승진하기 위해 필요한 총 근무기간을 의미합니다. 이는 공무원의 경력 발전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핵심 제도로, 2024년 개정을 통해 더욱 유연한 인사운영이 가능해졌습니다.

계급별 승진소요 최저연수
각 계급별 승진소요 최저연수는 다음과 같이 개정되었습니다:
- 3급 이상: 2년 이상
- 4급 및 5급: 3년 이상
- 6급: 2년 이상
- 7급, 8급, 9급: 1년 이상
근속승진 자격 요건
근속승진을 위한 기본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7급: 11년 이상 근무
- 8급: 7년 이상 근무
- 9급: 5년 6개월 이상 근무
주요 제도 개선사항
2024년 개정된 주요 내용에는 7급에서 6급으로의 근속승진 규모가 40%에서 50%로 확대되었으며, 승진심사 횟수 제한도 폐지되었습니다. 특히 재난·안전 분야 2년 이상 근무자에게는 승진임용 배수범위 적용이 면제되는 등 우대 혜택이 주어집니다.
승진소요연수 산정 기준
휴직, 직위해제, 징계처분 기간은 승진소요연수 계산에서 제외됩니다. 또한 다자녀 양육자는 퇴직 후 10년, 중증장애인은 퇴직 후 5년까지 경력이 인정됩니다.
이번 제도 개선으로 능력과 성과가 우수한 공무원들의 승진 기회가 확대되어 공직사회의 활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. 특히 지방정부의 인사운영에 있어 더욱 효율적인 인재 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.

